음악의 예술적 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확장할 수 있는 자주적 음악인를 양성합니다.
일반대학원 음악학과 석사 및 박사과정
음악의 예술적 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확장할 수 있는 자주적 음악인 양성
성악, 피아노, 음악치료 트랙을 중심으로 예술적 표현 역량과 학문적 연구 능력, 그리고 임상·실천 기반의 전문성을 균형 있게 함양하는 교육을 제공합니다. 연주, 창작, 치료 및 학술 연구의 통합적 접근을 바탕으로 음악의 예술적 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확장할 수 있는 전문 음악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학과문의
- 02)944-5393 주임교수
학과홈페이지 바로가기
피아노 트랙
- 국내 최고 교수진의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러닝 실기레슨과 첨단 디지털 기술인 Disklavier와
VX(Virtual Experience)를 활용환 차별화된 온라인 컨텐츠 제공 - 해외 명문 음대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국제적 감각을 갖춘 글로벌·융합형 인재 양성
성악 트랙
- 온/오프라인 블렌디드교육 장점을 극대화한 개인역량 강화 융합 커리큘럼
- 최고의 교수진과의 맞춤형 실기지도 및 다양한 연주경험을 통한 음악적 성장
음악치료 트랙
- 국내 최초 음악치료 학사·석사·박사 연계 온라인 학위체계 완성
- 인가·음악·기술의 조화를 토대로 한 음악 중심·임상 중심 교육으로 미래지향적 음악치료 전문인 양성
음악학과 교육과정
| 구분 | 1학기 | 2학기 | |
|---|---|---|---|
| 학과 공통 |
|
|
|
| 피아노트랙 | 전공필수 |
|
|
| 전공선택 |
|
|
|
| 성악트랙 | 전공필수 |
|
|
| 전공선택 |
|
|
|
| 음악치료트랙 | 선수과목 |
|
|
| 전공선택 |
|
|
|
| 구분 | 3학기 | 4학기 | |
|---|---|---|---|
| 학과 공통 |
|
|
|
| 피아노트랙 | 전공필수 |
|
|
| 전공선택 |
|
|
|
| 성악트랙 | 전공필수 |
|
|
| 전공선택 |
|
|
|
| 음악치료트랙 | 전공선택 |
|
|
*: 피아노, 성악트랙 공통과목
음악학과 로드맵
우리 전공의 학습 로드맵은 피아노, 성악, 음악치료로 특성화된 각 트랙을 선택해서 공부하는 세부 트랙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 피아노트랙 | 성악트랙 | 음악치료트랙 | |
|---|---|---|---|
| 학과공통 | 음악과 인간 / 음악과 웰니스 / AI와 음악 / 예술심리치료의 이해 / 고급즉흥연주 | ||
| 전공필수 및 선수과목 |
|
|
|
|
Doctoral Seminar / Performance Practice1 /
Performance Practice2 박사 |
|||
| 전공선택 |
|
|
|
| 자격증 및 졸업 후 진로 |
전문 연주자 전문 반주자 초중고 특기정성 길기교사 유아 음악 지도교사 음악학원 운영자 음악전문기자 클래식 음악 해설가 공연예술기획 전문가 음악 기획자 |
전문 독창자 앙상블 단체의 단원 및 솔리스트 오페라 합창단원 음악학원 운영 및 개인지도 시니어 성악발성 지도사 공연예술기획자 그 외 음악 관련직 |
임상음악전문가 자격증 음악치료사(민간) 자격증 예술치료사(민간) 자격증 심리상단 관련 자격 예술교육 및 복지 관련 자격 임상음악치료사(병원,재활센터,요양시설 등) 음악심리치료사(정신보건기관,연구소 등) 커뮤니티음악치료사(지역사회,공공기관 등) 음악치료 연구자 및 학자 음악치유 기획자 예술복지 프로그램 기획자 |
|---|
학과공통
| 교과목명 | 교과목 소개 |
|---|---|
| 음악과인간 (Music and Humanity) |
음악의 인지·정서·사회적 기능을 탐구하며, 인간의 삶 속에서 음악이 수행하는 심리적·문화적 역할을 이해한다. 음악 경험의 구조와 뇌과학적 기반, 문화적 다양성을 학습한다. |
| 음악과웰니스 (Music and Wellness) |
음악을 활용한 정신적·신체적 웰빙 증진과 의료적 음악치료(Medical Music Therapy) 의 통합적 역할을 탐구한다. 스트레스 관리, 통증 완화, 재활, 암·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의 음악 개입 사례를 학습한다. 또한 개인의 자기성장과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음악 기반 실습을 병행한다. |
| AI와음악 (AI and Music) |
인공지능 기술이 음악 창작과 치료에 적용되는 방식을 탐구한다. 생성형 AI, 사운드 분석, 인터랙티브 음악 시스템의 최신 동향을 학습한다. |
| 예술심리치료의이해 (Introduction to Creative Arts Therapies) |
음악치료를 포함한 예술치료 전반의 이론과 기법을 소개한다. 예술적 매체를 통한 심리적 표현과 치유의 메커니즘을 탐색한다. |
| 고급즉흥연주 (Advanced Improvisation) |
즉흥연주의 예술성과 치료적 기능을 심화 학습한다. 다양한 악기와 보컬 즉흥을 활용하여 창의적 표현 및 치료적 상호작용을 실습한다. |
피아노/성악
| 교과목명 | 교과목 소개 |
|---|---|
| 서양음악사연구 (Study of Western Music History) |
각 시대별로 대표적인 작곡가의 작품과 음악 사조를 살펴본다. 대표적인 작품의 양식적인 분석 및 그 발전, 그리고 음악과 사회문화적 배경과의 연관성도 함께 연구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서양음악의 기원부터 현대까지 각 시대의 음악적 배경과 음악특징을 작곡가들의 음악활동과 작품을 중심으로 수업하여 창작과 연주의 실천적 예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문적 배경을 쌓게한다. |
| 연주자를위한음악이론 (Music Theory for Musicians) |
학생들이 기초음악이론, 악기론, 화성학, 대위법, 분석 등의 모든 이론적 기법을 통괄적으로 학습, 발전시키기 위한 과목이다. 조성음악의 가장 기초적 개념들인 음정, 음계, 조, 3화음, 그리고 7화음과 그 원리에 대하여 올바르고 정확하게 배우는 것에 그 목표를 둔다. |
| 앙상블세미나1 (Ensemble Seminar 1) |
다양한 편성의 앙상블 연주를 통해 협업 능력과 음악적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실기 중심의 연습과 세미나를 통해 앙상블 해석, 밸런스, 리듬 감각 및 무대 표현력을 발전시키며, 연주자로서의 전문성을 심화한다. |
| 앙상블세미나2 (Ensemble Seminar 2) |
|
| Doctoral Seminar | 이 교과목은 음악박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전공 분야의 심화된 연구와 예술적·학문적 탐구를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개별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며, 비평적 사고력과 연구 방법론을 발전시킨다. 이를 통해 전문 연주자 및 연구자로서의 학문적 역량과 예술적 통찰을 심화한다. |
| Performance Practice1 | 이 교과목은 연주 해석의 역사적·이론적 배경을 탐구하고, 시대별 음악 스타일에 따른 올바른 연주 관행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렉쳐 리사이틀을 위해 바로크, 고전, 낭만, 현대 음악 중 선택한 곡의 연주 기법과 해석 방법을 비교·분석하며, 실제 연주에 이를 적용하여 예술적 표현력과 해석 능력을 심화한다. |
| Performance Practice2 |
피아노
| 교과목명 | 교과목 소개 |
|---|---|
| 피아노전공실기1 (Piano Performance 1) |
고급 수준의 연주 기법과 예술적 해석 능력을 심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로 바로크와 고전시대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연습하며, 개인의 음악적 표현력과 전문 연주자로서의 역량을 발전시킨다. |
| 피아노전공실기2 (Piano Performance 2) |
|
| 피아노전공실기3 (Piano Performance 3) |
고급 수준의 연주 기법과 예술적 해석 능력을 심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로 낭만시대와 현대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연습하며, 개인의 음악적 표현력과 전문 연주자로서의 역량을 발전시킨다. |
| 피아노전공실기4 (Piano Performance 4) |
|
| 바로크터치의비밀 (Secrets of the Baroque Touch) |
이 강의는 바흐와 쿠프랭 등 바로크 시대 건반 작곡가들의 스타일과 해석법을 탐구하며, old fingering과 ornamentation, articulation을 중심으로 시대적 연주 감각을 체득한다. |
| 피아니즘발달사 (History of Pianism) |
이 교과목은 18세기 피아노의 탄생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피아니즘의 발전 과정을 탐구한다. 시대별 주요 피아니스트와 연주 양식, 피아노 테크닉 및 해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음악사적 흐름을 이해하고, 피아니즘이 지닌 예술적·문화적 의미를 고찰한다. |
| 세계의피아니스트 (Twentieth Century Pianist) |
주로 20세기 피아니즘의 발전 과정을 다룬다. 해당시기의 주요 피아니스트와 피아노 연주 양식, 해석 및 테크닉의 변화를 중심으로 음악적·문화적 배경 속에서 피아니즘의 흐름을 이해한다. |
성악
| 교과목명 | 교과목 소개 |
|---|---|
| 성악전공실기1 (Applied Voice 1) |
바로크 시대의 곡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언어의 레파토리를 다루며 당시 시대 곡을 연주하는 테크닉과 함께 연주 스타일을 연구함, 수업 마무리는 오르간 및 원전악기와 함께하는 연주를 목표로함 |
| 성악전공실기2 (Applied Voice 2) |
고전시대의 곡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언어의 레파토리를 공부하며, 특별히 모차르트 오페라 중심으로 레시타티보 연구와 연주를 목표로 함 |
| 성악전공실기3 (Applied Voice 3) |
낭만시대와 초기 현대 곡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언어의 레파토리를 공부하며, 특별히 독일가곡 및 프랑스 가곡에 대한 연구와 연주를 목표로 함 |
| 성악전공실기4 (Applied Voice 4) |
졸업을 위한 석사논문인 리사이틀 준비를 목적으로 모든 준비단계, 연구 주제선택 준비 단계부터 구성을 짜고 프로그램 노트를 만들어 렉쳐연주를 실행하는 연구수업으로 운영 |
| 딕션심화 (Advanced Diction) |
학부에서 배운 각 언어의 딕션(이태리어, 독어, 프랑스어, 영어)을 리뷰하고 좀더 심화적 단계로 본인의 노래안에서 적용시키는 과정으로 발전시키는 수업. 특별히 전공실기1과 연계시켜 본인 바로크 레파토리 각 언어의 딕션 역량을 실제적으로 강화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
| 세계의가곡과크로스오버 (World Art Song) |
스페인어, 영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로 만들어진 가곡을 배워보는 수업으로 각 언어가 가진 매력을 표현하기위한 간단한 딕션을 배운다. 또한 최근 성악가들의 연주에 많이 불리워지는 크로스오버 레파토리도 함께 연구해보며 성악가로써의 레파토리의 폭을 넓히는 수업 |
| 한국가곡의발자취 (Korean Art Song) |
이제는 세계속에 당당히 K- Art Song, K- 가곡으로 불리워 지는 우리 가곡에 대한 연구와 그 뿌리를 찾아보는 수업. 수업마지막에 한국가곡으로 된 자신만의 K-가곡 컨서트를 기획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오페라분석 (Study of Opera) |
오페라 속 아리아 한곡을 부르는데에 그치지 않고 작품 전반을 바라보는 시각을 키우고 전체 케릭터에 대한 분석과 함께 오페라 준비 과정까지 깊이 연구해 보는 수업. |
음악치료
| 교과목명 | 교과목 소개 |
|---|---|
| 음악치료학의이해 (Music Therapy Principles) |
음악치료학의 이해는 음악치료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 음악치료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습득하는 교과목으로 음악치료 전공에 가장 기초가 되는 교과목이다. |
| 음악심리학의이해 (Music Psychology Principles) |
음악심리학의 이해는 개인과 집단의 음악적 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는 수업이다. 이를 통해 음악 치료전공자는 치료의 핵심이 되는 음악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다른 전공자들에게는 융복합학문으로 음악을 적용하고 풍요로운 음악생활을 누릴 수 있게 돕는 과목이다. 인간의 음악에 대한 반응과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을 이해한다. |
| 고급음악치료테크닉 (Advanced Clinical Techniques in Music Therapy) |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적용되는 고급 음악치료 개입기법과 평가방법을 학습한다. 사례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별·집단 치료계획 수립, 개입 실행, 결과 평가의 전 과정을 실습한다. 음악적·치료적 판단을 통합하여 전문 임상가로서의 역량을 심화시킨다. |
| 근거기반음악치료 (Evidence-Based Music Therapy, EBMT) |
음악치료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근거기반 임상실천의 원리를 학습한다. 연구설계와 데이터분석 능력을 강화한다. |
| 수용적음악치료 (Receptive Music Therapy) |
음악 감(listening)을 중심으로 한 심리적·정서적 치료 접근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음악을 듣는 경험을 통해 내면의 이미지, 감정, 기억을 탐색하고, 정서적 통합과 자아 성찰을 촉진하는 다양한 기법을 익힌다. 특히 심상유도음(GIM: Guided Imagery and Music)을 비롯한 청취 기반 개입기법을 실습하며, 음악의 구조적·정서적 요소가 신체적·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과 경험을 통해 이해한다 |
| 음악치료세미나1 (Seminar in Music Therapy 1) |
음악치료 연구동향과 최신 이론을 심층적으로 토론한다. 이론의 임상 적용에 대해 탐색하고, 학생 발표와 비평을 통해 연구역량을 강화한다. |
| 음악치료세미나2 (Seminar in Music Therapy2) |
|
| 음악치료실습및슈퍼비전1 (Music Therapy Practicum and Supervision1) |
본 과목은 음악치료 임상현장에서의 실습과 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슈퍼비전을 통합적으로 운영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사례 평가, 치료계획 수립, 개입, 성과 분석을 수행하며, 슈퍼비전 과정을 통해 임상사례에 대한 비판적·발전적 평가(critical and developmental evaluation) 능력을 함양한다. 또한 자기성찰과 동료 피드백을 통해 전문적 판단력과 치료적 관계 형성 능력을 심화시키며, 향후 전문 임상가 및 슈퍼바이저로 성장하기 위한 기초 역량을 구축한다. |
| 음악치료실습및슈퍼비전2 (Practicum and Supervision in Music Therapy2) |
|
| 음악치료연구세미나1 (Research Seminar in Music Therapy1) |
심화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토론과 논문 비평을 수행한다. 독립적 연구 설계 및 학문적 글쓰기 역량을 강화한다. |
| 음악치료연구세미나2 (Research Seminar in Music Therapy2) |
|
| 음악치료철학과윤리 (Philosophy and Ethics in Music Therapy) |
음악치료의 철학적 기반과 윤리적 쟁점을 논의한다. 치료사의 역할, 관계의 경계, 문화적 민감성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
| 음악치료프로젝트 (Music Therapy Project) |
음악치료 분야의 연구·임상·교육·사회기여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하고 실행하는 실습 중심 과목이다. 학생들은 지도교수의 멘토링 아래 음악치료 프로그램 기획, 공공·민간 지원사업 제안서 작성, 연구 프로젝트 설계 및 평가 등을 수행한다. 현장 기반의 기획 역량과 학문적 연구능력을 통합하여,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치료적앙상블 (Therapeutic Ensemble) |
음악치료에서 사용되는 연주를 음악적으로 발전시키고 치료적 표현으로 확장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은 즉흥, 편곡, 합주 등 다양한 음악적 접근을 통해 치료적 의도에 부합하는 음악적 표현력과 앙상블 감각을 심화시킨다. 또한 실제 임상 상황에서의 연주 활용과 음악적 소통 과정을 탐구하며, 예술성과 치료적 목적이 통합된 연주 역량을 개발한다. |




